고교학점제 기대효과는?
하이틴 미드나 영화에서 10대 고등학생들이 사물함에서 시간표에 맞춰 교재를 꺼내 들고 강의실로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대학교처럼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스스로 선택하여 수강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이에요.
고교학점제에 대한 포스팅을 쓰려고 자료조사를 해보니 이미 2017년도에 발표가 되었고 2022년부터 전면 도입하기 위해서 지난 2018년도부터 시범운영을 진행하고 있었네요.
고교학점제는 대학교처럼 학생들이 수업을 선택하고 기준 학점을 충족하였을 시 졸업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와 적성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에요.
고교학점제의 기대효과는 무엇인지. 우려스러운 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고교학점제 추진계획
학업성취율에 따른 성취등급
성취율 | 성취도 |
90% 이상 | A |
80% 이상 - 90% 미만 | B |
70% 이상 - 80% 미만 | C |
60% 이상 - 70% 미만 | D |
60%미만 E | 40% 이상 - 60% 미만 E (이수) |
40% 미만 I (미이수) | |
현행 | 향후 (2025년 이후) |
내신성적 산출방식 변화 (보통교과)
현행 (2019년 이후)
교과 | 성적 산출 |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 성취도 (A B C D E ) 석차등급 병기 |
진로선택 과목 | 성취도 (A B C) 표기 |
향후 (2025년 이후)
교과 | 성적 산출 |
공통과목 | 성취도 (A B C D E I) 석차등급 병기 |
선택과목(일반/융합/진로) | 성취도 (A B C D E I) 표기 |
※ 체육, 예술은 성취도 3단계 외 모두 미산출 되며 교양은 P(이수) 외 모두 미산출(현행 방식 유지)
2025년부터는 모든 선택과목이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로 변화합니다. 내신 점수를 유리하게 받기 위해 수강 인원이 많은 수업에 몰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교육부 피셜 고교학점제 도입의 기대 효과
* 입시 중심에서 학생 성장 중심
* 경직되고 획일적인 교육에서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
* 수직적 서열화에서 수평적 다양화
학교에 담당교사가 없는 경우엔?
이번해부터 교육지원청에 교과 순회교사가 배치될 예정입니다. 학교에 담당교사가 없더라도 학생들이 다양한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될 거예요. 교원자격이 없다고 해도 희소성 있는 분야나 농어촌 교사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전문가가 투입되어 특정 교과를 담당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둘 예정이네요.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2028년도에는 미래형 대입제도를 위하여 2024년도에는 발표될 예정이에요. 지금처럼 획일적인 교육보다 진로와 적성, 창의적인 역량을 발굴할 수 있는 시스템인 것 같아요.
그러나 학교별 교육 여건에 따라 수업의 질이 달라질 수 있고 이것 역시 고교 서열화를 부추길 수도 있습니다. 더 지켜보고 보완해야 하겠지요.
이상 고교학점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추후 발표되는 자료는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자녀 대학등록금 지원 얼마나 받을까? (1) | 2021.02.24 |
---|---|
2021년 다자녀혜택 (0) | 2021.02.24 |
4차 재난지원금 대상 금액 시기는 언제일까? (0) | 2021.02.15 |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 하향 (0) | 2021.02.13 |
직계가족 범위 어떻게 될까 (0) | 2021.02.13 |